3경기에서 ROX Tigers는 또다시 애쉬-미스포츈 조합을 꺼내들었습니다.

SKT T1은 2경기에서 당했던 애쉬-미스포츈 조합을 다시 꺼낸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다는 생각이었는지 두 챔피언 모두 밴을 하지 않고 풀어주었습니다.

결과론적으로 보면 SKT T1의 이러한 선택은 잘못된 선택이었습니다.

고릴라 선수에게 미스포츈을 열러준 것은 물론이고 특히 오늘의 프레이 선수에게 애쉬를 풀어주어서는 안되는 것이었습니다.

ROX Tigers의 바텀 조합 애쉬-미스포츈은 SK T1의 바텀 조합인 케이틀린-자이라를 라인전 단계부터 압박하였고 애쉬가 6렙을 찍자마자 리신과 함께 SK T1의 바텀 듀오를 잡아냅니다.

하지만 당하고만 있을 SKT T1이 아니였습니다. 블랭크 선수의 올라프의 커버로 미스포츈을 잡아내고 블루팀 칼날부리쪽에서 페이커 선수와 울프 선수가 피넛 선수를 잡아내며 균형을 다시 맞췄습니다.

비등비등한 균형을 무너뜨린 건 또다시 프레이 선수 애쉬의 마법의 수정화살이었습니다.

페이커 선수의 오리아나를 정확히 저격하여, SKT T1의 핵심 페이커 선수를 잡아냅니다.

페이커 선수를 잡음으로써 ROX Tigers는 바론을 획득하여 게임의 균형을 완전히 무너뜨리고 3경기를 가져가게 됩니다.

 

<프레이 선수의 이 마법의 수정 화살은 ROX Tigers가 경기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 결정적 한 발이었습니다.>

 

 

 

2:1 락스 타이거즈는 이제 한 경기만 더 이기면 SKT T1을 꺾고 결승전에 진출하는 상황이었고, SKT T1은 벼랑 끝에 몰렸습니다.

특히 두 팀 모두 누가 이겨도 이상하지 않을 최고의 경기력이라 SKT T1의 부담은 더했을 것이었습니다.

벼랑끝 상황에서 SKT T1은 정신적 지주 뱅기 선수 카드를 꺼냅니다.

1경기를 이길 수 있도록 공헌을 했지만 최고의 컨디션은 아니라고 판단되어 2,3경기에서는 블랭크 선수가 대신 출전하였습니다.

(승자 인터뷰에서 뱅기 선수가 밝힌 내용입니다.)

1,2,3경기에서 피넛 선수의 장기이며 아직까지도 OP 챔피언(Over Power 챔피언: 다른 챔피언에 비해 성능이 월등히 뛰어난 챔피언) 대열에 있는 니달리는 SKT T1은 계속 밴(금지) 해왔습니다.

사용하기에는 자신이 없고 그렇다고 니달리를 주기에는 부담이 되어서 한 선택이었을 것 입니다.

그러나 4경기에서 SKT T1은 니달리는 밴하지 않습니다.

해설자들은 "설마 설마"를 외치며 뱅기 선수가 과연 니달리를 선택할까 의아해합니다.

이렇게 긴가민가하는 사이 T1은 자신감있게 1픽으로 니달리는 가져옵니다.

니달리 픽을 보며 해설자들은 신기함과 우려를 표합니다.

사실 뱅기 선수는 니달리 같이 공격적이고 게임을 이끌어가는 정글러보다는 같은 팀을 지원, 보조해주거나 상대의 움직임을 받아칠 수 있는 그런 정글러를 선호하고 어울리는 선수였기 때문입니다.

<협곡 그 자체인 분에겐 챔피언 폭이란 의미가 없습니다.>

중이 고기맛을 보면 더 무섭다고 했던가요? 뱅기 선수는 공격적이고 게임을 압도하는 챔피언의 재미를 알아버린 듯 별명답게 소환사의 협곡을 휘젓고 다닙니다. 이러한 뱅기의 모습을 보며 같은 팀의 다른 선수들은 힘을 얻었고, 락스 타이거즈의 선수들은 기가 죽었습니다. 이전 경기까지 백발 구십팔중 정도 될 것 같았던 프레이 선수의 수정화살은 자주 빗나갔으며, 피넛 선수는 정글을 휘젓고 다니질 못하였습니다. 티원의 봇 듀오도 힘을 냈으며 페이커 선수는 물고기가 물을 만난 듯 이전 경기보다 더 가벼워 보이는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뱅기 선수가 투입되자 에스케이 티원은 분위기를 반전시켜 4경기를 가져가는데 성공합니다.

 

<몇 번 연습해보지 못한 정글러로도 이렇게 활약할 수 있는 협곡 그 자체 뱅기 선수입니다.>

2:2의 상황에서 마지막 경기를 남겨둔 두 팀 중에서 최후에 웃을 수 있었던 팀은 어디였을까요?

+ Recent posts